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물속 미생물 종류 50선 (세균, 조류, 원생동물)

by gguggudaily 2025. 11. 15.

물속 미생물 종류 50선 관련 사진

물속에는 상상을 초월할 만큼 다양한 미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우리가 눈으로 보기 어렵지만, 생태계 순환, 수질 정화, 탄소 고정,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산, 병원성 조절 등 수많은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물속 미생물은 크게 세균, 조류, 원생동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그룹은 또다시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 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해양, 하천, 호수, 지하수 등 다양한 수환경에서 발견되는 주요 물속 미생물 50종을 세균, 조류, 원생동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세균류 (Bacteria) – 수질 정화, 영양염 순환, 오염 분해에 기여하는 미생물

  • Escherichia coli – 대장균, 수질오염 지표로 사용됨.
  • Vibrio cholerae – 콜레라균, 병원성 해수 세균.
  • Vibrio vulnificus – 고온기 감염 유발 해양세균.
  • Legionella pneumophila – 냉각탑 수질에서 검출, 레지오넬라증 유발.
  • Salmonella enterica – 병원성 장내세균, 물을 통한 감염 주의.
  • Pseudomonas aeruginosa – 수처리장, 하수에서 흔히 검출.
  • Acinetobacter spp. – 오염된 물 환경에서 번식.
  • Nitrosomonas spp. – 암모니아 산화균, 질소 순환에 기여.
  • Nitrobacter spp. – 아질산을 질산으로 전환.
  • Paracoccus denitrificans – 탈질작용 수행.
  • Bacillus subtilis – 고초균, 포자 형성.
  • Shewanella oneidensis – 금속 환원, 정화 기능.
  • Alcanivorax borkumensis – 석유 분해 미생물.
  • Marinobacter hydrocarbonoclasticus – 해양 기름 정화 세균.
  • Roseobacter spp. – 해양 황 대사 관여.
  • Planctomycetes spp. – 질소 고정 및 혐기성 대사.
  • Cyanobacteria (남세균류) – 광합성 세균, 조류 역할도 함.
  • Clostridium spp. – 혐기성 분해 세균.
  • Lactobacillus spp. – 유산균, 일부 수계에서 발견됨.
  • Actinobacteria spp. – 유기물 분해 활성이 높은 세균군.

조류류 (Algae) – 광합성, 산소 생산, 1차 생산자로서 역할하는 미생물

  • Chlorella vulgaris – 담수 녹조류, 광합성 실험용.
  • Scenedesmus obliquus – 환경 조건에 따라 군체 형성.
  • Chlamydomonas reinhardtii – 모델 녹조류, 연구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
  • Microcystis aeruginosa – 독성 남세균, 녹조 현상 유발.
  • Anabaena spp. – 질소 고정 기능, 사상형 남세균.
  • Oscillatoria spp. – 실 모양의 남조류, 푸른빛 띰.
  • Nostoc spp. – 육상·수생 혼합 환경에서 서식.
  • Skeletonema costatum – 규조류, 해양 부영양화 지표종.
  • Thalassiosira pseudonana – 규조류 모델 생물.
  • Navicula spp. – 벤트스형 규조류, 바닥 생물과 공생.
  • Dinophysis spp. – 와편모조류, 패류독소 생성.
  • Alexandrium spp. – 독성 적조 유발 조류.
  • Ceratium spp. – 거대한 와편모조류, 조류 군집 분석 시 활용.
  • Euglena gracilis – 식물성과 동물성 특성 공존.
  • Botryococcus braunii – 바이오 연료 생산 조류로 주목.

원생동물류 (Protozoa) – 물속 먹이사슬과 유기물 분해에 중요한 소비자 미생물

  • Paramecium caudatum – 짚신벌레, 섬모 운동 대표종.
  • Amoeba proteus – 유동적인 위족 운동, 먹이 포식 관찰.
  • Euglena spp. – 편모 운동 및 광합성 기능.
  • Didinium nasutum – 포식성 원생동물, 짚신벌레 포식.
  • Stentor spp. – 나팔벌레, 물속 진동에 민감.
  • Vorticella spp. – 나선형 줄기와 섬모를 가진 원생동물.
  • Colpoda spp. – 토양 및 담수에 서식, 작은 섬모류.
  • Blepharisma spp. – 핑크색 색소 보유, 먹이 반응 민감.
  • Arcella spp. – 껍질을 가진 아메바형 원생생물.
  • Heliozoa spp. – 방사형 위족이 특징인 담수 플랑크톤.
  • Cryptomonas spp. – 색소 다양성 높은 식물편모조류.
  • Rhizobium radiobacter – 식물과 상호작용하는 편모성 종.
  • Chilomonas spp. – 무색 편모조류, 섭식 위주.
  • Naegleria fowleri – 고온에서 서식하는 병원성 원생동물.
  • Entamoeba histolytica – 병원성 아메바, 수인성 전염병 원인.

이렇게 분류된 물속 미생물 50종은 각각의 생물학적 특성과 환경적 역할이 다르며, 수생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들입니다. 조류는 광합성과 산소 생산을, 세균은 물질 순환과 정화를, 원생동물은 먹이사슬의 중간 소비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들의 군집 변화는 곧 수질 변화와 직결되기 때문에, 수생환경을 감시하거나 개선하려는 모든 시도에 있어 미생물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